주요실적
건축 / 용인 창고형 근린생활시설 공사
- 작성일2025/03/26 11:28
- 조회 38
종합건설
용인
2024
창고형 근린생활시설 공사
오늘 소개 드릴 건축사례는 '경기도 용인시 창고형 근린생활시설' 입니다.
대지면적, 구조, 용적률 등 기본적인 공사 개요와 공사 전후 비교,
전반적인 공사 진행에 대해 안내 드리겠습니다.
지금 함께 만나보시죠.
건축주 요구사항
건축주께서는 효율적인 임대수익 창출을 하실 수 있도록 임차인이 다양한 사업을 진행할 수 있는 창고형 근린생활시설을 원하셨습니다.건축주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반영하여 외부 구조와 기본 방수 작업을 시공하여 가성비 있는 창고형 근린생활시설을 준공하였습니다. 대지면적은 1,565㎡, 연면적은 601㎡, 지상 1층 2개 동으로 공사 진행하였습니다.
텅 빈 공터의 새로운 변화, 다양한 활용성을 지닌 창고형 근린생활시설
공사 개요 및 평면도
구조 | 철근콘크리트조 |
건폐율 | 38.44% |
연면적 | 601.13㎡ |
대지면적 | 1,564㎡ |
용적률 | 38.43% |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건폐율은 38.44%, 용적률은 38.43%, 연면적은 601.13㎡, 대지 면적은 1,564㎡ 규모의 공사를 진행했습니다.
공사 진행 단계
1. 토공사와 기초 작업
본격적인 공사 시작 전, 지반을 고루 다지는 지반 처리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번 공사에서는 갑작스런 태풍으로 지반이 많은 물을 흡수하게 되는 변수가 발생했습니다. 이렇게 지반이 많은 물을 흡수한 경우 기초 굴착면이 붕괴되지 않도록 자연배수를 통해 지반의 물을 최대한 빼낸 후 공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다행히 비가 더 오지 않아, 5일 간의 자연배수 작업을 통해 무사히 터파기를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터를 파기 전 토지의 레벨 측량을 실시하고 줄긋기, 테이프, 석회 등의 줄치기를 통해 건축물의 개략 위치를 표시하는 작업을 진행 했습니다. 이러한 기본 작업은 이후 진행될 시공에 오차가 없도록 하기 위한 토공사 실시 전 가장 중요한 작업입니다.
기초 터파기를 실시할 때 현장소장은 지속적으로 레벨을 측정하여 설계와 시공의 오차를 줄이는 역할을 맡습니다. 이러한 레벨 측정은 콘크리트의 적당한 강도 조절과 과한 자재소비를 막을 수 있게 만듭니다. 터파기 후 발생한 흙은 추후 되메우기로 사용해야 하므로 공사에 방해가 되지 않게 가적치한 후 불필요한 흙은 반출을 실시하도록 토사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2. 보강토 블럭 설치
지적 경계선에 보강토블럭을 설치했습니다. 보강토블럭은 건축주의 땅과 다른 사람의 땅을 확실히 구분하여 불필요한 분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합니다. 나중에 완공될 건물의 레벨을 고려해서 설치했습니다. 이렇게 지적 경계를 명확히 해두면 우기 때 원활한 배수를 할 수 있습니다.
3. 기초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
건축물의 구조 하중을 지반에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한 기초 철근 배근 작업입니다. 2016년 포항 지진 이후로 우리나라의 내진 관련 법규가 강화됐습니다. 이후 철근 크기나 정착 길이 같은 세밀한 규정을 명확히 지켜야 하고, 그에 맞는 숙련된 기능공이 작업을 해야합니다.
기초 철근배근 후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설치를 완료했습니다. 이 때 배관, 전기 등 구조체에 매립되는 시설물이 빠졌는지 등을 반드시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기초 콘크리트 타설 완료 후의 모습입니다.
4. 철골 구조 설치
이번 공사는 건축주께서 공사를 빠르게 끝내길 원하셔서, 건식 공법을 선택해 진행했습니다. 건식 공법을 사용하니까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철골 구조를 빠르게 조립할 수 있었고, 덕분에 공사 속도가 많이 빨라졌습니다.철골 구조는 내진성이 뛰어나서, 특히 안전이 중요한 건축 현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식이죠. 철골 주요 구조에는 내화 페인트를 칠했습니다. 철골은 인장력이 강하지만, 섭씨 800도에서 850도 이상 높은 온도에 노출되면 힘을 잃고 무너질 수 있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안전하게 버틸 수 있도록 내화 성능이 있는 페인트를 발랐습니다. 내화 페인트는 일정 시간 이상 고온을 견딜 수 있게 설계되어, 화재 시 건축물의 안전성을 높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건축물 외관을 장식할 중요한 마감재로, 단열성이 뛰어난 단열 일체형 외벽판넬을 설치하였습니다. 이는 미관을 확보하면서도 공기를 단축하고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개구부 위치를 정확히 측량하여, 적정 공간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한 작업이었습니다.
실제 건축물을 사용하기 위한 전기 인입공사를 하고 있습니다.
내부공정 작업 완료(전등, 화장실 도기, 큐비클 등) 했습니다. 이때 건축주에게 거울, 전등 타입, 타일, 도기 등을 사전에 컨펌 받아 유지관리가 용이한 자재로 선정하는것이 중요합니다. 향후 건축물의 얼굴이 되는 미관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죠
건축물 외부의 진입공터에 아스팔트 시공 완료 후 공사를 마무리 했습니다.
건축주 님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깔끔하고 안전한 창고형 근린생활시설을 건축하였습니다.
앞으로 이용하실 건축주 분과 임차인 여러분이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작업하실 수 있게 공을 많이 들여
더욱 의미 있는 공사현장이었습니다.
새로운 시설에서 이야기를 써내려 갈 건축주 분의 이야기, 앞으로도 계속 응원하겠습니다.